마케팅 성과 분석의 핵심, '유입 채널 분석' 제대로 하는 법

디지털 고객 행동 분석 솔루션 '데이터스토리' 활용법 ① UTM 링크를 통해 유입 채널별 성과를 한눈에 파악 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Nethru's avatar
Mar 18, 2025
마케팅 성과 분석의 핵심, '유입 채널 분석' 제대로 하는 법

🤔 이 광고… 정말 효과가 있는 걸까?

“SNS를 통한 홈페이지 유입이 늘었는데, 상품 가입은 왜 별로 안 늘었지?”

“블로그 콘텐츠를 통한 문의가 늘었다는데, 정확히 어떤 글이 성과를 낸 거지?”

이런 고민에 정답을 찾을 수 없다면, 지금까지의 유입 분석은 잘못되었습니다!

신규 상품/서비스 홍보를 위한 광고를 진행한 후 마케팅 성과를 측정할 때, '어떤 채널에서 고객이 유입되었는지'만 확인해서는 부족합니다. 각 채널에서 유입된 고객이 실제로 어떤 행동을 했는지를 분석해야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입 채널 분석의 목적과 효과적인 분석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유입 채널을 분석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어떻게 분석해야 ‘제대로’ 분석했다고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지금부터 소개하겠습니다.

유입 채널 분석의 목적

마케팅 활동을 진행한 후 성과를 분석하는 것은 많은 데이터 분석가들이 이미 하고 있는 일반적인 업무입니다. 하지만 유입 채널을 분석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분석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를 정확히 알아야 제대로된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 성과가 좋은 채널 파악

다양한 마케팅 채널 중에서 어떤 채널이 전환(예: 상담 신청, 자료 다운로드 등)을 유도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채널에 집중하고, 성과가 낮은 채널을 개선할 방향을 찾을 수 있습니다.

✅ 효과적인 콘텐츠 파악

블로그, SNS, 이메일 등 다양한 콘텐츠 중에서 어떤 주제의 콘텐츠가 더 많은 전환을 유도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향후 마케팅 전략 수립 시 어떤 부분에 포인트를 맞춰 홍보해야 할 지 방향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 고객 이해를 통한 사용자 경험 향상

유입된 고객이 사이트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 얼마나 이탈했는지 등을 분석하여 사이트 구조나 콘텐츠를 개선하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유입 채널별 세그먼트를 통해 해당 고객의 관심사와 행동 패턴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면, 고객을 더욱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입 채널 분석, 어떻게 하면 좋을까?

Step 1. UTM 파라미터를 활용해 유입 채널 구분하기

유입 채널을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UTM 파라미터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UTM 파라미터는 URL에 특정 정보를 추가해 유입 채널을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콘텐츠를 통해 ‘ABC 카드’를 홍보한다고 가정합시다. 콘텐츠 내용을 모두 작성하고 하단에 ‘ABC 카드 신청하기’ 라는 배너를 넣었습니다. 이때 배너 URL을 ‘https://abccard.co.kr’로 등록한다면, 홈페이지로는 바로 연결 되지만 해당 블로그를 통한 유입인지는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https://abccard.co.kr’ 뒤에 UTM 파라미터로 꼬리표를 붙인다면, 해당 링크가 클릭될 때마다 기록이 남아 Google Analytics 등의 데이터 분석 툴을 이용하여 출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UTM 링크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습니다. (* 표시는 필수 입력 사항)

코드

내용

예시

랜딩페이지*

고객이 접속할 페이지 주소

https://abccard.co.kr/

유입 채널*

utm_source

고객이 어디서 유입되었는지

나타내는 채널

naver, google,

youtube, newsletter

유입 매체*

utm_medium

CPC 광고, 배너 광고,

블로그, 이메일 등의 광고 매체

cpc, banner, blog, email

캠페인*

utm_campaign

어떤 캠페인을 통해 유입되었는지 표시

(캠페인명, 상품명, 서비스명 등)

card_abc_promo_2025,

spring_sale_2025

소재

utm_content

해당 캠페인 내 소재

(보통 소재의 특징 으로 표시)

apply_card_blue

키워드

utm_term

어떤 키워드로 들어왔는지 표시

(검색광고, 콘텐츠 등의 타겟 검색어)

cashback

[예시]

https://abccard.co.kr/?utm_source=naver&utm_medium=blog&utm_campaign=card_abc_promo_2025&utm_content=apply_card_blue&utm_term=cashback

위의 링크를 해석하자면, 사용자는 ‘네이버 블로그’에서, ‘2025년 abc 카드 프로모션’을 위해 작성된 콘텐츠의 ‘카드 신청 파란색 이미지’를 클릭해서 홈페이지에 유입되었고, 사용자가 네이버에서 검색한 키워드 또는 콘텐츠의 핵심 키워드는 ‘캐시백’ 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같이 UTM 링크 생성은 구체적인 유입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첫번째 장치입니다. 화면 하단의 ‘UTM 링크 생성기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UTM 링크를 쉽게 생성할 수 있는 구글 스프레드시트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이어서, UTM 링크를 바탕으로 고객 행동을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Step 2. 분석 솔루션을 통해 유입 경로 및 고객 행동 분석하기

UTM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에는, 분석 솔루션을 통해 유입 고객의 행동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GA와 같은 무료 분석 도구에서도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입 채널을 확인할 수 있지만 마케터가 원하는 상세한 전환 행동까지는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본 포스트에서는 넷스루 디지털 고객 행동 분석 솔루션 데이터스토리를 활용하여 유입 채널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 유입 채널별 사이트 방문수 시각화

UTM 링크의 ‘utm_source’를 통해 유입 채널별 홈페이지 방문수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입분석, 유입채널분석, 고객행동분석, 마케팅채널분석, 데이터스토리
출처: DataStory

이때 전체적인 유입 방문수를 비교할 수도 있고, 세그먼트별로 채널별 사이트 방문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위의 예시에서는 ‘PC방문’과 ‘모바일 방문’을 나눠 살펴보았습니다. 그 결과, ‘인블로그’ 매체는 PC 방문이 압도적으로 높으며 모바일에서도 가장 높은 유입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이오플래닛’은 PC 방문은 가장 낮지만, 모바일에서는 홈페이지 유입이 많이 발생하는 모바일에 강화된 매체라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그먼트는 마케터가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내에서 테스트용으로 클릭한 경우를 제외하고 싶다면, 사내 IP 제한 세그먼트를 생성하여 해당 세그먼트의 값만 확인해볼 수도 있습니다.

✅ 고객 행동 분석을 통해 상세한 마케팅 성과 파악

데이터스토리를 이용하면 사이트 방문수 뿐 아니라 전환값을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실시간 고객 행동 수집 솔루션 와이즈컬렉터를 함께 사용하면, 홈페이지 유입 후 어떤 고객 행동(클릭, 페이지이동, 항목선택 등)을 했는지 더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이트 방문자가 마케터가 의도한대로 행동했는지에 대한 마케팅 성과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유입분석, 유입채널분석, 유입매체분석, 고객행동분석, 마케팅채널분석, 데이터스토리
출처: DataStory

예를 들어, 마케팅팀의 KPI(핵심성과지표)가 홈페이지를 통한 다운로드와 문의인 경우, ‘아이보스’가 방문수와 페이지뷰는 더 높지만 ‘네이버블로그’가 다운로드, 문의 건수가 더 높기 때문에 마케팅 성과가 높은 매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입 방문수는 높으나 반송률도 높은 매체가 있다면, 콘텐츠와 랜딩페이지간의 연관성이 낮지는 않은지 등을 점검하여 ‘SNS를 통한 홈페이지 유입이 늘었는데 상품 가입이 왜 안늘었는지’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채널 뿐 아니라 콘텐츠 내용까지 유입 경로 통합/상세 분석

유입분석, 유입채널분석, 유입매체분석, 고객행동분석, 마케팅채널분석, 데이터스토리
출처: DataStory

데이터스토리의 분석 상세표는 트리 구조로 되어있어 유입 경로를 통합 또는 상세 분석하기에 용이합니다. 통합 분석하고 싶은 항목을 제일 앞단에 두고, 세부적인 항목들을 뒷단에 두면, + 버튼을 클릭하여 쉽게 접었다 펼쳤다 하면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목명을 한글화하여 추가할수 있기 때문에 보고서 내용을 한눈에 파악하기 수월합니다. 위의 표에서는 ‘utm_term’을 ‘키워드’, ‘utm_medium’을 ‘매체’, ‘utm_source’를 ‘유입 채널’로 등록하여 UTM 링크를 기반으로 유입 경로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만약, ‘블로그 콘텐츠를 통한 문의가 늘었다는데, 정확히 어떤 글이 성과를 낸 건지’ 궁금하다면, [매체 > 키워드] 순으로 표를 배치하여 블로그 중에서 어떤 내용의 글이 성과를 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분석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위의 표가 그런 경우 입니다. ‘사용자여정분석’ > ‘2025트렌드’ > ‘세그먼트분석 ’ 키워드 순서로 홈페이지 유입이 많았으며, 소개서 다운로드는 ‘사용자여정분석’ 관련 콘텐츠에서만 발생했습니다. 이로써 사용자들은 ‘사용자여정분석’ 관련 콘텐츠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해당 콘텐츠를 통해 홈페이지에 유입된 고객들은 ‘소개서 다운로드’ 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블로그와 페이스북 등 채널별 성과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콘텐츠 내용이나 어떤 인플루언서가 쓴 콘텐츠가 더 효과적이었는지 등 다양한 단계에서 상세한 분석을 해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마무리

유입 채널 분석은 단순히 방문자 수를 확인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고객이 어떤 채널을 통해 방문했으며, 궁극적으로 전환 행동(예: 상담 신청, 문의 남기기 등)을 했는지까지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UTM 파라미터와 분석 솔루션을 적절히 활용하면 더욱 정교한 유입 채널 및 유입 경로 분석이 가능합니다. 특히, 데이터스토리는 다양한 콘텐츠와 마케팅 채널을 운영하는 팀에게 더 강력한 분석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아래 버튼을 클릭해 UTM 자동 생성 구글 폼을 다운로드하고, 보다 쉽게 유입 채널 분석을 시작해보세요!

Share article
궁금하신 점을 남겨주세요 😊

디지털 마케팅 솔루션 No.1 NETHRU